췌관, 췌장 관련 2010-08-19 기준 신규 임상 연구 정보
아래 내용은 질병관리본부 임상정보의 OPEN API를 참조하여 작성되었습니다.
최종 의학적 판단은 항상 자격있는 의사에게 받으시는 것이 안전합니다.
관련 연구와 관련된 문의는 연구를 진행하는 기관으로 문의하여 주세요.
내시경역행담췌관조영술 후 췌장염 예방에 있어 Udenafil의 효과 : 다기관 무작위배정 이중맹검 위약대조 연구자임상시험
|
상단 연구(임상) 제목은 동아제약(주)(Dong-A Pharm)에서 개발하고, 건국대학교병원에서 진행하는 임상 실험으로 연구 목적과 방법은 아래와 같습니다.
연구 목적
췌장염은 내시경역행담췌관조영술 (endoscopic retrograde cholangiopancreatography, ERCP)의 주요한 합병증의 하나이다. 최근의 보고에 의하면 ERCP 후에 발생하는 췌장염은 1%에서 20%까지 보고 되고 있다. 그러나 0. 3에서 0. 6%에서 중증의 췌장염이 발생 할 수 있고 이 중에서 0. 03%정도에서는 사망하는 경우도 있다. ERCP후 췌장염이 발생 원인의 여러 가설 중 담관내로의 선택적 삽관이 잘 이루어지지 않아 유두부 손상을 주게 되고 이로 인한 부종 등으로 인해 췌관 입구의 폐쇄가 일어나게 되고 췌액의 흐름이 원할히 이루어지지 않게 되어 췌장염의 가장 중요한 원인으로 생각되어 지고 있다. 이런 기전으로 인한 췌장염의 발생이 ERCP수기와 관련한 주요 인자로서 유두부의 이완을 유도하여 담관내로의 선택적 삽관을 유도하고 유두부 입구의 이완을 유지 함으로써 시술 후 발생하는 췌장염의 빈도를 줄일 수 있을 것이다. Phosphodiesterase type 5 (PDE5) 억제제는 발기부전 환자에서 사용되고 있는 약제로서 PDE5 억제제는 PDE5에 의해 평활근내에 산화질소에 의해 생성된 cGMP 가수분해를 억제함으로써 세포내 칼슘농도를 떨어지게 하여 평활근의 이완을 유발한다. 실제 PDE5 억제제 중에 하나인 sildenafil을 이용한 연구에서 sildenafil의 투여가 식도체부의 수축력을 감소 시켰다는 보고가 있다. 그러나 PDE5 억제제 중에 좀더 최근에 개발된 vardenafil은 PDE5의 억제정도가 sildenafil에 비해 10배정도 강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교실의 연구에서 건강자원자에서 vardenafil을 투여하였을 때 식도 연동운동은 isosorbide dinitrate에 비해 현저하게 감소 되었고, 하부식도 괄약근압은 현저히 감소 시킴으로써 보다 강력한 평활근 이완 효과를 확인한 바 있다. 이런 이론적 근거를 배경으로 vardenafil을 투여하여 효과적인 오디조임근의 이완정도를 biliary manometry를 이용하여 객관적으로 관찰하고자 오디조임근 부전증이 의심되는 환자에서 vardenafil 투여 전후로 조임근 압력 검사를 시행하여 효과적으로 vardenafil투여 후 조임근의 압력이 의미있게 감압되는 것을 관찰하였다. 이와 같이 PDE5 억제제 중의 하나인 Udenafil을 이용하여 오디 조임근의 압력을 감소 시킴으로써 담관으로의 성공적인 삽관율을 높이고 ERCP후 발생할 수 있는 췌장염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 된다.
|
연구 방법
Udenafil 100mg을 시술 2시간 전 1회 복용
|
#관련 질병 태그
질병명 | 질병코드 | 비고 | |
1 | 췌장 | D01.70 | |
2 | 췌관 | C25.3 | |
3 | 췌장 | D13.6 |
--------------------------
새로운 소식을 계속해서 알림 받고 싶나요? 또 다른 정보들이 궁금한가요?
딱 한번, 세상 모든 질병이 치료되는 그날까지 -
한번 서비스를 한번 설치해 보세요!
안드로이드 다운로드
https://play.google.com/store/apps/details?id=me.hanbun.app.android
한번 - 질병 장애 커뮤니티, Hanbun - Google Play 앱
■ 같은 질병/장애를 앓고 있는 사람들과 정보를 나누고 공유해 보세요. ■ 최신 연구 정보와 뉴스를 확인해 보세요. ■ 20,000개 질병/장애에 대한 최신 정보를 알림 받아 보세요. -- "딱 한번, 모든 질병이 치료되는 그날까지." 저희 서비스가 바라고, 원하는 바입니다. 많은 장애인 및 환자분들이 가지고 있는 대표적인 고민 중 하나는 "내 질병은 언제 치료될까?" 입니다. 매번, 검색하지 않아도. 어렵게 번역기를 돌려가며 정보들을 찾지 않아도 되도록
play.google.com
iOS 다운로드
https://apps.apple.com/us/app/%ED%95%9C%EB%B2%88-hanbun/id1469753106?l=ko&ls=1
한번 - 질병 장애 커뮤니티, Hanbun
■ 같은 질병/장애를 앓고 있는 사람들과 정보를 나누고 공유해 보세요. ■ 최신 연구 정보와 뉴스를 확인해 보세요. ■ 20,000개 질병/장애에 대한 최신 정보를 알림 받아 보세요. "딱 한번, 모든 질병이 치료되는 그날까지." 저희 서비스가 바라고, 원하는 바입니다. 많은 장애인 및 환자분들이 가지고 있는 대표적 고민 중 하나는 "치료제는 언제쯤 나올까..?" 입니다. 매번, 검색하지 않아도. 어렵게 번역기를 돌려가며 정보들을 찾지 않아도 되도록 저
apps.apple.com
해당 게시글에 대한 저작권은 각 단체 및 질병관리본부에 있습니다.
본 게시글은 자동으로 작성된 게시글로, 혹 불편하신 내용이나 잘못된 내용이 있으시면 언제든지 문의주세요.
한번 서비스팀에서 💖을 담아 드림.
'신규 임상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메티실린 내성, 반코마이신 내성 관련 2010-09-02 기준 신규 임상 연구 정보 (0) | 2019.07.19 |
---|---|
승모판폐쇄부전 관련 2010-08-25 기준 신규 임상 연구 정보 (0) | 2019.07.19 |
협심증 관련 2010-08-13 기준 신규 임상 연구 정보 (0) | 2019.07.19 |
담낭 관련 2010-07-26 기준 신규 임상 연구 정보 (0) | 2019.07.19 |
갑상선, 구토 관련 2010-07-05 기준 신규 임상 연구 정보 (0) | 2019.07.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