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번] 기타 유산, 상세불명의 유산 관련 2018-05-18 기준 신규 임상/신약 연구 정보

 

우슬·땅두릅 유산균 발효복합물의 관절건강 개선 기능성 및 안전성을 평가하기 위한 인체적용연구

 

 

상단 연구(임상) 제목은 메디엔바이오(Chunho Bio)에서 개발하고, 대원교육재단 세명대학교 부속한방병원에서 진행하는 임상 실험으로 연구 목적과 방법은 아래와 같습니다.

 

연구 목적

 

목적 : 노화로 인해 무릎관절에 불편을 호소하는 중년 이상의 성인에서 우슬•땅두릅 유산균 발효복합물 섭취의 골관절건강 개선 기능성 및 안전성을 확인함.

 

배경 :평균 수명 연장으로 관절염과 같은 퇴행성질환에 대한 관심이 크게 증가하고 있음.

 

퇴행성 관절염(degenerative arthritis)은 골관절염(osteoarthritis)이라고도 하는 가장 흔한 관절염의 유형으로 주로 관절은 보호하는 연골의 퇴행성 손상으로 인해 염증과 통증이 유발되는 질병임.

 

세계인구의 약 10-15%가 퇴행성 관절염을 앓고 있으며 노년층 10명 중 8명에서 발병하고 있으며, 치료비는 2010년 306억 달러에서 연평균 3%로 성장하여 2018년 406억 달러 규모의 시장을 형성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음.

 

하지만 스테로이드성 또는 비스테로이드성 관절염치료제는 약물 의존성이 높고 부작용이 많아 부작용이 적은 건강기능식품 등의 대체방안이 요구됨.

 

우슬(牛膝, Achyranthes Radix)은 비름과(Amaranthaceae) 종에 속하는 다년생식물로서 우리나라 각지의 들판이나 길가에 자생되고 있으며, 우리나라를 비롯하여 중국, 베트남 등에 널리 분포하고 있음.

 

키는 60-150 cm 정도 자라고 줄기는 녹자색으로 모난 4각형을 이루며 그 마디 부위는 특별히 굵어 쇠무릎이라고 함.

 

우슬은 항관절염, 최음효과, 항바이러스, 지사효과, 항경련, 항고혈압, 항응고, 이뇨 및 항암효과 등이 알려진 약재로, <동의보감>에서는“차가운 기운과 습한 기운으로 다리가 약해지고 저리는 증이 생겨 무릎이 아파서 굽혔다 폈다 하지 못하는 것을 낫게 한다”고 나와있음.

 

<중약대사전>에서 우슬은 “맛은 달고 쓰고 시며, 성질은 평하다.

 

간, 신경으로 들어간다.

 

생것 그대로 쓰면 어혈을 가시고 부스럼을 없앤다.

 

익은 것을 사용하면 간, 신을 보양하고 근골을 튼튼하게 한다.

 

허리, 무릎, 뼈가 아플 때, 팔다리가 경련하고 저리는 증상을 치료한다”고 나와있음.

 

땅두릅(Aralia continentalis Kitagawa)은 두릅나무과(Araliaceae)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 식물로 일명 독활, 풀두릅이라고하며, 한국을 비롯한 일본, 중국 등 동아시아 산지에 넓게 분포함.

 

한방에서 땅두릅은 맵고 써서 기운을 흩어주거나 내려주고, 따뜻하고 건조하기 때문에 몸에 습기가 뭉친 것을 없애주는 약으로, 바람을 막고 습기를 제거하여 관절의 통증을 줄여준다고 함(국산 약용작물 50선(농협약용작물전국협의회)).

 

특히 <동의보감>에서 땅두릅은 “전신의 관절 마디마디에 생긴 통풍을 치료하고 근골에 경련이 일면서 아픈 근골련통을 치료한다”라고 알려져 있음.

 

우슬과 땅두릅은 시험관 시험에서 항염증효과와 골아세포 증식 및 파골세포분화 억제 효과가 확인되었으며, 관절염 유도 동물모델에서 관절 염증지수, 연골손실 수준 등이 개선되고 항염증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관절건강 개선을 위한 건강기능식품 소재로 개발하고자 함.

 

가설 :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기반으로 노화로 인해 무릎관절에 불편을 호소하는 중년 이상의 성인을 대상으로 우슬•땅두릅 유산균 발효복합물의 관절건강 개선 기능성 및 안전성을 확인하고자 함.

 

임상연구계획 : 임상연구는 무작위 이중맹검 50세 이상 남녀를 대상으로 하여 시험식품을 12주간 복용하면서 영상검사 임상병리 검사 등을 시행하여 효능을 측정한다.

 

 

 

연구 방법

 

시험식품 - 주성분: 우슬•땅두릅 유산균 발효복합물 - 제형: 캡슐 - 중량: 500 mg (우슬•땅두릅 유산균 발효복합물 500 mg/캡슐 함유) - 보관방법: 직사광선과 습기를 피하고 건냉한 곳에 보관 - 섭취방법: 1일 2회, 1회 2캡슐을 12주간 충분한 물과 함께 경구 섭취 2. 대조식품 - 주성분: 전분 - 제형: 캡슐 - 중량: 500 mg (우슬•땅두릅 유산균 발효복합물 미함유) - 보관방법: 직사광선과 습기를 피하고 건냉한 곳에 보관 - 섭취방법: 1일 2회, 1회 2캡슐을 12주간 충분한 물과 함께 경구 섭취

 

 

#관련 질병 태그

  질병명 질병코드 비고
1 상세불명의 유산 O06  
2 기타 유산 O05  

 

 

--------------------------

 

새로운 소식을 계속해서 알림 받고 싶나요? 또 다른 정보들이 궁금한가요?

 

딱 한번, 세상 모든 질병이 치료되는 그날까지 -

 

한번 서비스를 한번 설치해 보세요!

 

 

안드로이드 다운로드

https://play.google.com/store/apps/details?id=me.hanbun.app.android&referrer=utm_source%3Dblog.hanbun.me%26utm_medium%3Darticle%26utm_campaign%3Dblog_article

 

한번 - 질병 장애 커뮤니티, Hanbun - Google Play 앱

■ 같은 질병/장애를 앓고 있는 사람들과 정보를 나누고 공유해 보세요. ■ 최신 연구 정보와 뉴스를 확인해 보세요. ■ 20,000개 질병/장애에 대한 최신 정보를 알림 받아 보세요. -- "딱 한번, 모든 질병이 치료되는 그날까지." 저희 서비스가 바라고, 원하는 바입니다. 많은 장애인 및 환자분들이 가지고 있는 대표적인 고민 중 하나는 "내 질병은 언제 치료될까?" 입니다. 매번, 검색하지 않아도. 어렵게 번역기를 돌려가며 정보들을 찾지 않아도 되도록

play.google.com

 

iOS 다운로드

 

https://apps.apple.com/app/apple-store/id1469753106?pt=120143603&ct=TISTORY_BLOG&mt=8

 

‎한번 - 질병 장애 커뮤니티, Hanbun

‎■ 같은 질병/장애를 앓고 있는 사람들과 정보를 나누고 공유해 보세요. ■ 최신 연구 정보와 뉴스를 확인해 보세요. ■ 20,000개 질병/장애에 대한 최신 정보를 알림 받아 보세요. "딱 한번, 모든 질병이 치료되는 그날까지." 저희 서비스가 바라고, 원하는 바입니다. 많은 장애인 및 환자분들이 가지고 있는 대표적 고민 중 하나는 "치료제는 언제쯤 나올까..?" 입니다. 매번, 검색하지 않아도. 어렵게 번역기를 돌려가며 정보들을 찾지 않아도 되도록 저

apps.apple.com

위 내용은 질병관리본부 임상정보의 OPEN API를 참조하여 작성되었습니다.

최종 의학적 판단은 항상 자격있는 의사에게 받으시는 것이 안전합니다.

관련 연구와 관련된 문의는 연구를 진행하는 기관으로 문의하여 주세요.

 

해당 게시글에 대한 저작권은 각 단체 및 질병관리본부에 있습니다.

본 게시글은 자동으로 작성된 게시글로, 혹 불편하신 내용이나 잘못된 내용이 있으시면 언제든지 문의주세요.

 

한번 서비스팀에서 💖을 담아 드림.

 

TAGS.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