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번] 파킨슨병 관련 2017-12-19 기준 신규 임상/신약 연구 정보
파킨슨병으로 인한 보행 장애 환자를 대상으로 보행침의 치료 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무작위 배정, 평가자맹검, 평행설계 예비임상시험
|
상단 연구(임상) 제목은 보건복지부(Ministry of Health & Welfare)에서 개발하고, 대전대학교 둔산한방병원에서 진행하는 임상 실험으로 연구 목적과 방법은 아래와 같습니다.
연구 목적
1. 배경 파킨슨 병 (PD)은 뇌질환에서 두 번째로 흔한 진행성 신경 퇴행성 장애로 그 증상은 서행, 휴식시 진전, 근육강직이 대표적입니다. 표준치료법으로 L-DOPA가 사용되지만, 그 단점으로 약물효과의 불연속성과 이상운동증이 있습니다. 따라서 L-DOPA와 병행 치료를 하면서 단점을 개선할 보완 치료가 필요가있다. 침치료는 임상에서 PD 환자의 증상을 개선하기 위해 널리 사용되었지만, PD에서 침치료의 효과를 확인하는 근거가 충분하지 않은 실정입니다. 2. 목적 보행장애가 있는 PD환자에서 침 치료의 효과와 안전성을 평가하고, 침 치료를 통한 대뇌 피질의 혈류역학적 변화와 신경전달물질 변화를 확인함으로써 침의 작용 기전을 확인하고자 합니다. 3. 방법 본 연구는 보행 장애가있는 PD 환자를 대상으로 평가자 눈가림, 무작위 배정, 평행 설계로 설정된 임상시험 입니다. PD로 진단된 보행장애가 있는 환자된 총 26 명을 대상자로 선정하고, 보행장애의 척도는 Hoehn and Yahr 척도 (1 ~ 4)로 정합니다. 대상자는 대조군 (n = 13)과 중재 군 (n = 13)에 무작위로 배정됩니다. 중재 그룹은 4 주 동안 침술 치료를 받고 4 주 동안 추적 관찰을 받게됩니다. 대조군은 8 주 동안 침 치료없이 평가를 받게 될 것입니다. 대조군과 중재군 모두 항파킨슨 치료를 받을 수 있습니다. 주 평가지표는 GAITRite를 사용하여 측정하는 보행 속도가됩니다. 부평가지표는 fNIRS를 사용하는 대뇌 피질의 혈류역학적 변화, 신경 전달 물질의 변화, 보홍운동 관련 변수들, 침의 즉효성 효과 및 누적, 지속 효과를 포함합니다. 4. 윤리 및 보급 이 프로토콜은 대전대학교 둔산한방병원 연구생명윤리위원회 (DJDSKH-17-BM-20)의 승인을 받았고, 한국 Good Clinical Practice Guideline에 따라 실시됩니다. 연구 결과는 과학 저널에 게시하고 국제 회의에서 발표 할 예정입니다.
|
연구 방법
보행 장애가있는 PD 환자에서 침치료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서 침치료 중재군과 대조군에서 보행 관련 평가지표를 비교할 것이다. 침 치료 프로토콜은 20 년 이상의 경험을 가진 수석 의사에 의해 수립되었습니다. 모든 중재는 한 명의 의사가 실시하고, 2 년 이상의 실무 경력을 가진 한의사가 보조를 할 것이다. 경혈점은 양릉천(GB34) 승부(BL36) 위중(BL40) 승산(BL57) 비양(BL58) 삼음교(Sp6) 환도(GB30) 요안(EX-B7) 풍지(GB20) 옥침(BL9) 신수(BL23) 대장수(BL25) 관원수(BL26) 용천(K11)로, 다른 경혈자리는 허용되지 않습니다. 스테인리스 침술 바늘 (0.3mm × 40mm, 한국 충남 보령동 동방 소재)을 수기침으로 15mm 깊이에 삽입한다. 대상자와 연구의사가 득기감을 느낄때까지 침을 염전하고, 그 후 10 분간 유침한다. 침 치료는 일주일에 2 번 총 4 주 동안 실시됩니다. 모든 중재 침술 치료법은 2010 년에 개정 된 STRICTA를 준수한다.
|
#관련 질병 태그
질병명 | 질병코드 | 비고 | |
1 | 파킨슨병 | G20 |
--------------------------
새로운 소식을 계속해서 알림 받고 싶나요? 또 다른 정보들이 궁금한가요?
딱 한번, 세상 모든 질병이 치료되는 그날까지 -
한번 서비스를 한번 설치해 보세요!
안드로이드 다운로드
한번 - 질병 장애 커뮤니티, Hanbun - Google Play 앱
■ 같은 질병/장애를 앓고 있는 사람들과 정보를 나누고 공유해 보세요. ■ 최신 연구 정보와 뉴스를 확인해 보세요. ■ 20,000개 질병/장애에 대한 최신 정보를 알림 받아 보세요. -- "딱 한번, 모든 질병이 치료되는 그날까지." 저희 서비스가 바라고, 원하는 바입니다. 많은 장애인 및 환자분들이 가지고 있는 대표적인 고민 중 하나는 "내 질병은 언제 치료될까?" 입니다. 매번, 검색하지 않아도. 어렵게 번역기를 돌려가며 정보들을 찾지 않아도 되도록
play.google.com
iOS 다운로드
https://apps.apple.com/app/apple-store/id1469753106?pt=120143603&ct=TISTORY_BLOG&mt=8
한번 - 질병 장애 커뮤니티, Hanbun
■ 같은 질병/장애를 앓고 있는 사람들과 정보를 나누고 공유해 보세요. ■ 최신 연구 정보와 뉴스를 확인해 보세요. ■ 20,000개 질병/장애에 대한 최신 정보를 알림 받아 보세요. "딱 한번, 모든 질병이 치료되는 그날까지." 저희 서비스가 바라고, 원하는 바입니다. 많은 장애인 및 환자분들이 가지고 있는 대표적 고민 중 하나는 "치료제는 언제쯤 나올까..?" 입니다. 매번, 검색하지 않아도. 어렵게 번역기를 돌려가며 정보들을 찾지 않아도 되도록 저
apps.apple.com
위 내용은 질병관리본부 임상정보의 OPEN API를 참조하여 작성되었습니다.
최종 의학적 판단은 항상 자격있는 의사에게 받으시는 것이 안전합니다.
관련 연구와 관련된 문의는 연구를 진행하는 기관으로 문의하여 주세요.
해당 게시글에 대한 저작권은 각 단체 및 질병관리본부에 있습니다.
본 게시글은 자동으로 작성된 게시글로, 혹 불편하신 내용이나 잘못된 내용이 있으시면 언제든지 문의주세요.
한번 서비스팀에서 💖을 담아 드림.
'신규 임상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번] 조현병 관련 2017-12-22 기준 신규 임상/신약 연구 정보 (0) | 2019.09.23 |
---|---|
[한번] 뇌혈관질환 관련 2017-12-21 기준 신규 임상/신약 연구 정보 (0) | 2019.09.23 |
[한번] 단독, 갑상선 관련 2017-12-15 기준 신규 임상/신약 연구 정보 (0) | 2019.09.23 |
[한번] 요관 관련 2017-12-15 기준 신규 임상/신약 연구 정보 (0) | 2019.09.23 |
[한번] 화병 관련 2017-12-15 기준 신규 임상/신약 연구 정보 (0) | 2019.09.23 |